-
성균관대학교-니혼대학 차세대 연구자 워크숍 (도쿄 2023년 1월 26일)
2023-01-20「韓国成均館大学校文科大学と日本大学文理学部 第1回 次世代研究者ワークショップ」のご案内です。 ように,2023年1月26日(木)13:00〜18:00,ラーニングコモンズで,両校の大学院在学生・ポストドクター・学位取得者の学術交流を行います。成均館大学校は1953年に設置された私立大学です。1398年に設立された朝鮮王朝時代の最高教育機関である成均館を前身とする,東アジアで最古ともいえる歴史ある名門大学です。成均館大学の周辺には,朝鮮王朝の宮殿,大統領の公館であった靑瓦台,新たな文化の発信地である光化門などがあります。 今後は文理学部の学生の派遣なども視野に入れて交流を深めていく予定です。今回はその交流の一環として,次世代研究者ワークショップを行う予定です。学術交流といえば,堅い話のように思うかもしれませんが,発表者のなかには卒論を題材に発表する方もいらっしゃいます。比較的に身近な話題をとりあげながら議論することになります。ラーニングコモンズなので,気軽に立ち寄ってください。文理学部の学生のみなさんは,参加費無料で自由に参加可能です。 韓国語と日本語のあいだには通訳が付きます。英語の発表も一つ含まれております。言語を対話の壁と考えない形で,自分にとって話しやすい言語で気軽に語り合うことを目指します。 何かご質問や問い合わせのある方は,国文学科の高榮蘭まで遠慮なくメールを送付いただければ幸いです。それでは,当日,会場で会いましょう!
2022-12-22“문화연구와 언어 문제” - 언어적 전회와 문화적 전회, 두 전환 이후의 한국(어문)학 - Language Problems in Cultural Studies : Linguistic Turn and Cultural Turn, Korean Studies after Two Transitions 안녕하십니까, 〈성균관대 BK21 혁신ㆍ공유ㆍ정의 지향의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입니다. 우리 교육연구단은 “성균 국제 문화연구 연례포럼”(Sungkyun Annual International Forum on Cultural Studies)을 통해 그간 “포스트코로나 포스트 문화연구“(Post Corona (Era), Post Cultural Studies, 2021.1.29.~2021.1.30.), “SF와 지정학적미학”(2022년 12.9.-12.10.)라는 두 국제회의를 통해 문화연구의 현재를 확인하는 토론과 연찬의 자리를 가져 왔습니다. 이에, 이번 제3회 대회에서는 ““문화연구와 언어 문제: 언어적 전회와 문화적 전회, 두 전환 이후의 한국(어문)학”이라는 주제로 지난 반세기 인문학 연구의 대전환을 가져온 언어와 문화라는 두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의 주요 이슈들을 검토하고 두 전환 이후의 한국학의 문제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문화 연구에서 언어의 문제는 피할 수 없는 분석의 대상이며, 20세기 인문학의 언어적 전회는 문화적 전회에 의해 새로운 도전과 변화를 맞기도 했습니다. 한국 문화 연구에 있어서의 언어적 이슈들을 발본적으로 논하는 귀한 자리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시일: 2023년 1월 4일-1월 6일 (수/목/금) 장소: 성균관대학교 (온/오프라인) 장소 경영관 소극장(1월 4일) 31709(1월5일-6일) 주최: 성균관대 BK21 혁신ㆍ공유ㆍ정의 지향의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 Inter-University Center at SKKU(국제한국학센터), 성균관대 비교문화ㆍ일본학ㆍ글로컬문화콘텐츠 연계전공 제1일 식전 상영+공연 1월 4일 오후 4시-5시반 경영관 소극장 “Opening 상영+변사 공연” 조선 변사 활동사진극 <레미제라블> (Les Misérables, Albert Capellani 1912) 한국어 대본 및 변사 : 강창일 공연시간 : 40분 + 토크 2023년 1월 4일 오후 4시-5시반 경영관 지하3층 소극장 영화: 레미제라블(Les Misérables) / 1912년 / 흑백 / 무성 / 프랑스 원작: 빅토르 위고(Victor Hugo) 감독: 알베르 카펠라니( Albert Capellani) 제작사: S.C.A.G.L.(Société Cinématographique des Auteurs et Gens de Lettres) 배급사: 파테(Pathé Consortium Cinéma) 오리지널 상영시간: 4시간 20분 조선에 들어온 활동사진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은 1920년 5월 종로의 YMCA에서 상영되어 대흥행을 기록했다. 20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텍스트, 아름다운 문장, 혁명의 메시지를 담은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작품이 무려 4시간이 넘는 필름에 담겨 식민지 조선의 관객의 마음과 어떻게 통하였을까? 아니, 그보다 무성영화는 어떤 식으로 100년 전 한반도의 관객들에게 보여졌을까? 영화의 본고장 프랑스에서 <검사와 여선생> 변사 공연으로 프랑스 관객을 만났던 영화학자 강창일이 고증과 상상을 더해 재연하는 한국 최초로 상영된 <레미제라블> 공연. *강창일 파리 8대학 연극/영화 박사. 현재 파리 10대학에서 비교문학 연구 중. 『Les débuts du cinéma en Corée (한국영화의 시작)』 출간. #제2일 “20세기의 한국의 언어 경험과 문학어” #제3일 “문화론적 전회 이후, 한국학의 지구” (*제2일과 제3일의 상세 프로그램은 포스터 및 일정표에서 확인 바랍니다.)
연속특강 <비교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 한국에서 비교문학 '하기'>
2022-10-13연속특강: 비교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에서 비교문학 '하기'- 1강 “동아시아 비교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번역의 시공간과 근대문학의 역학들” - 강연자: 손성준(한국해양대 교수) - 일시: 10월 20일 목요일 12시-2시 30분 - 장소: 성균관대학교 다산경제관 2층 32208호 2강 “비교문학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전미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 강연자: 이형진( 숙명여대 교수) - 일시: 10월 25일 화요일 12시-2시 30분 - 장소: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4층 33402호 주최: 성균관대 BK21 혁신·공유·정의 지향의 한국어문학 교육연구단+성균관대 비교문학협동과정/연계전공 *학기말에는 <비교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외국에서 비교한국학 하기-> 편이 이어집니다.
[홍보] 프랑코포니 글로벌 K-CINEMA 특강 및 대담
2022-09-21프랑스어문학과로부터 홍보 요청을 받아 게시합니다. <프랑코포니 K-CINEMA 글로벌 특강 및 대담> 한국 영화의 참된 매력을 이해하기 위해 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문학과와 프랑스어권문화융합연구소, 그리고 문화예술미디어융합원은 우리 시대 최고의 영화 이론가 자크 오몽 전 파리 3대학 교수를 모시고 특별 강연을 개최합니다.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한국 영화를 프랑스의 석학이 명철하게 분석하는 이번 강연은 한국 영화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가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한국 영화에 관심이 많은 여러분들의 참여를 기대합니다. 특강과 함께 K-Cinema가 세계적 위상을 얻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이창동 감독님과의 대담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한국 영화를 주제로 프랑스 석학과 가장 한국적이자 가장 세게적인 감독이 교류하는 대담은 여러분을 한국 영화 창작의 본연으로 안내할 것입니다. 프랑스어와 한국어 동시통역으로 진행되지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날짜: 2022.9.29(목) 2) 장소: 경영관 지하3층 소극장 3) 시간 - 강연: 13:30~15:30 - 대담: 16:00~18:00 4) 유튜브 송출 링크 - 한국어 https://youtu.be/69SjsNaZzIQ - 프랑스어 https://youtu.be/oJLW_y1M_o4 자세한 사항은 프랑스어문학과로 문의 바랍니다. 02-760-0271